IT 7. DMP 와 Data Repository

Data Repository 유래

데이터 리포지터리라는 용어의 사용 유래는 컴퓨터 과학, 정보 관리, 그리고 연구 데이터 관리 분야에서 점진적으로 발전해온 개념에 기인합니다. 이 용어는 주로 **데이터 저장소(data repository)**라는 개념에서 발전한 것으로, 데이터의 중앙 집중적 저장과 관리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구체적인 용어로 자리 잡았습니다. 데이터 리포지터리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배경과 맥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데이터베이스와 파일 시스템에서의 리포지터리 개념

  • 컴퓨터 과학 초기: 리포지터리(repository)라는 용어는 파일 시스템이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중앙화된 장소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히 데이터를 모아두는 장소에서 더 나아가, 데이터에 대한 검색, 관리, 조작이 가능한 시스템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개발 및 버전 관리: 리포지터리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소스 코드, 문서, 구성 요소를 보관하고 버전을 관리하는 시스템에서도 사용되었습니다. 여기에서 리포지터리는 단순한 저장 기능을 넘어, 협업을 위한 공유와 버전 관리의 기능을 강화한 의미로 발전했습니다.

2. 연구 데이터 관리의 필요성

  • 과학 연구의 데이터 중심화: 20세기 후반부터 과학 연구가 점점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생성하면서 연구 데이터의 보존재활용의 중요성이 커졌습니다. 특히, 컴퓨터 기술과 디지털 데이터 저장 기술이 발전하면서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는 데이터의 보관과 공유에 대한 요구가 생겨났습니다. 이에 따라, 연구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리포지터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 데이터 공유 운동: 2000년대 초반부터 **오픈 데이터(Open Data)**와 오픈 액세스(Open Access)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연구 데이터의 투명성과 접근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논의가 전개되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데이터를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공유하는 플랫폼인 데이터 리포지터리(Data Repository)가 연구 커뮤니티에서 필수적인 인프라로 자리 잡았습니다.

3. 초기 Data Repository의 등장

  • 생물정보학과 생물학 분야: 데이터 리포지터리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분야 중 하나는 생물정보학 및 생물학입니다.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에 이르러, GenBankProtein Data Bank (PDB) 같은 데이터 리포지터리가 등장했는데, 이들은 DNA 서열, 단백질 구조 등 대규모의 생물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 세계 연구자들과 공유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는 연구 데이터의 효율적 관리와 공유를 위한 리포지터리 개념의 확립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4. 디지털화된 정보 관리 체계의 발전

  • 디지털 보존의 필요성: 연구와 공공 정책에서 데이터가 디지털화되면서 대량의 데이터를 보관하고 장기적으로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인프라가 필요해졌습니다. 디지털 환경에서 데이터는 쉽게 손실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영구 보존하고 신뢰성 있는 접근을 제공할 수 있는 리포지터리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대학, 연구 기관, 정부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데이터 리포지터리를 구축하게 만들었습니다.

5. 오픈 액세스 및 연구 데이터 정책

  • 연구 데이터 관리 정책의 변화: 특히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많은 국가와 연구 기관들이 연구 데이터의 공개와 공유를 촉진하는 정책을 수립했습니다. 연구 성과에 대한 투명성과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연구 데이터를 중앙화된 리포지터리에 저장하고, 이를 누구나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연구 출판 및 데이터 관리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용어의 정착

이러한 배경 속에서 데이터 리포지터리라는 용어는 연구 데이터 관리와 공유를 위한 주요 인프라를 지칭하는 용어로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연구 커뮤니티에서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다양한 연구자들이 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가리키는 말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결론

데이터 리포지터리라는 용어는 컴퓨터 과학과 정보 관리에서 비롯되어, 연구 데이터 관리와 공유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본격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현재는 연구 성과의 투명성, 접근성, 보존을 위한 필수적인 도구로써 다양한 학문 및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Data Repository 개념

데이터 리포지터리란 연구 데이터, 실험 결과, 통계 자료, 관측 데이터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수집, 저장, 보존, 공유할 수 있는 중앙화된 저장소를 의미합니다. 데이터 리포지터리는 연구자, 기관, 기업, 또는 정부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외부 사용자에게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설계된 시스템입니다.

Data Repository의 주요 특징:

  1. 데이터 보존: 데이터를 장기적으로 안전하게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복원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2. 데이터 접근성: 다양한 사용자(연구자, 정책 입안자, 대중 등)가 데이터를 쉽게 검색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구조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3. 데이터 공유: 데이터를 다른 연구자나 일반 대중과 공유하여 연구 성과를 확산시키고, 새로운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4. 메타데이터 관리: 데이터에 대한 설명, 출처, 형식, 생성일 등과 같은 메타데이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검색할 수 있게 합니다.
  5. 버전 관리: 데이터가 수정되거나 업데이트될 경우 이전 버전을 보존하면서 새로운 버전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6. 데이터 표준화: 데이터 형식을 표준화하여 사용자가 동일한 형식의 데이터를 일관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7. 연구 데이터 출판 및 인용: 연구 데이터를 출판하고 DOI(디지털 객체 식별자) 등으로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여 인용할 수 있게 하며, 연구 데이터의 가치를 높입니다.

Data Repository의 필요성:

  1. 연구 데이터의 재활용: 연구 데이터를 리포지터리에 저장하여 다른 연구자들이 이를 재활용함으로써 새로운 연구로 이어지게 하고, 연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합니다.
  2. 투명성과 신뢰성: 연구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공개함으로써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고, 재현 가능성을 보장합니다.
  3. 법적 및 윤리적 요구: 일부 연구는 데이터 공개 및 보존이 법적으로 요구되며, 데이터 리포지터리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는 수단이 됩니다.
  4. 데이터 손실 방지: 중앙화된 리포지터리는 데이터의 손실이나 훼손을 방지하고, 장기적으로 데이터를 안전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Data Repository의 유형:

  • 주제별 리포지터리: 특정 학문 분야나 주제에 특화된 데이터 리포지터리 (예: 생물학, 환경학, 사회과학).
  • 기관별 리포지터리: 특정 대학, 연구 기관, 정부 기관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리포지터리.
  • 국가별/정부 리포지터리: 공공 데이터를 보존하고 국가 차원에서 관리하는 리포지터리.
  • 상업적 리포지터리: 상업적 목적으로 운영되며, 특정 데이터를 유료 또는 무료로 제공하는 리포지터리.

Data Repository 예시:

  • Dryad: 생명과학 분야 연구 데이터를 공유하는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
  • Zenodo: 다양한 연구 분야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는 오픈 액세스 플랫폼.
  • Figshare: 학술 연구 데이터를 저장하고 출판할 수 있는 연구 데이터 리포지터리.

결론적으로, 데이터 리포지터리는 연구 데이터 및 다양한 자료를 중앙에서 관리하고, 보존하며, 연구 커뮤니티와 공유하는 중요한 인프라입니다.

공공에서 사용하는 Data Repository

기관/플랫폼플랫폼명주요 역할 및 기능분류체계 (주요 검색 분류 항목)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ScienceON연구 데이터를 공유하고 관리하는 국가 연구 데이터 플랫폼. 과학기술 분야의 데이터 수집 및 저장.연구 분야, 연구 프로젝트, 논문, 특허, 연구 장비/시설, 연구자 정보
DataON연구 데이터를 보존 및 공유하는 데이터 리포지터리로, 다양한 연구 분야 데이터 관리.데이터 유형, 연구 주제, 기관명, 연구자, 학술지, 연구 자료 메타데이터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ERIS)RISS국내외 학술 자료 및 연구 성과를 검색하고 열람할 수 있는 학술 정보 플랫폼. 대학 및 연구기관의 연구 데이터와 논문 제공.학문 분야, 논문, 학위 논문, 저자, 학술지, 학술 연구 자료
국가과학기술연구회 (NST)NTIS국가 연구 개발 프로젝트의 성과 및 관련 데이터 관리, 연구 성과물 저장 및 공유.연구 과제, 연구 성과, 기술 분야, 연구 기관, 연구자
대한민국 정부공공데이터포털 (data.go.kr)공공기관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누구나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공공 데이터 플랫폼.기관명, 데이터 유형 (행정, 통계, 공간 등), 분야 (사회, 경제, 환경 등), 데이터 제공 형태 (API, 파일 등)
국립중앙도서관OAK 리포지터리 (Open Access Korea)학술지, 학위 논문, 연구 보고서 등의 연구 성과물 수집 및 보존, 오픈 액세스 기반 연구 자료 공유.학술지, 학위 논문, 저자, 발행 연도, 연구 주제
국토연구원국토지리정보원공간 데이터 관리 및 제공. 국토와 관련된 지리 정보 데이터 보존 및 사용자 접근성 제공.공간 데이터 유형 (지도, 위성, 공간 분석 등), 지역, 데이터 형식 (GIS, CAD 등)
환경부국가환경정보센터환경 관련 데이터 관리 및 제공. 환경 모니터링 및 연구 데이터 공유 플랫폼.환경 분야 (대기, 수질, 토양 등), 데이터 유형 (관측, 모니터링, 통계), 지역, 시기

기관별 자체 Data Repository

기관 유형기관명리포지터리명주요 역할 및 기능
대학교서울대학교SNU Open Repository연구 데이터와 학술 성과물 보존 및 공유. 다양한 학문 분야 데이터 제공.
고려대학교KURE (Korea University Repository)연구 논문, 학위 논문, 학술 자료를 보존하고 공유하는 자체 리포지터리.
카이스트 (KAIST)KAIST Open Repository과학기술 분야 연구 성과 및 데이터를 관리하고 제공하는 리포지터리.
연구기관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ETRI 데이터 리포지터리정보통신기술(ICT) 관련 연구 성과물 및 기술 보고서 보존 및 공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IGAM)연구 성과 리포지터리지질 및 자원 관련 데이터, 탐사 보고서 보존 및 제공.
국립환경과학원환경 데이터베이스환경 관련 연구 데이터 보존 및 제공. 환경 정책 및 연구 활용 목적.
정부기관통계청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 (MDIS)각종 조사 및 통계 데이터를 마이크로 데이터 형식으로 제공, 연구 및 분석 목적.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REI)농업·농촌 데이터베이스농업 및 농촌 관련 연구 데이터 보존 및 제공. 농업 정책 및 환경 관련 데이터 포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IHASA)KIHASA 데이터 아카이브보건 및 사회 복지 관련 연구 데이터 보존 및 연구자에게 제공.
산업 분야 연구소한국기계연구원 (KIMM)KIMM 데이터 리포지터리기계공학 및 관련 산업 기술 연구 데이터를 보존 및 공유. 기술 보고서 및 연구 성과물 포함.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ARI)KARI 연구 데이터베이스항공우주 분야 연구 성과 및 데이터를 보존하고 연구 및 산업계에 제공.
기타 분야한국교육과정평가원 (KICE)KICE 데이터 리포지터리교육 평가 관련 연구 데이터를 보존 및 제공. 학업 성취도 평가 자료 포함.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재난 안전 데이터 아카이브재난 관리 및 안전 연구 데이터를 보존 및 제공. 연구 및 정책 활용 목적.

IT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