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글은 전사 차원의 아키텍처 (Enterprise Architecture, 이하 EA) 및 전사 아키텍트(Enterprise Architect)의 개념적 정의, 구성 요소, 역할 및 책임, 거버넌스(Architectural Governance), 도메인 간 연계(inter-domain integration)의 중요성, 그리고 조직에서 EA를 효과적으로 통합하고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고찰한다. 또한, 기존 문헌과 산업사례를 기반으로 EA 거버넌스 프레임워크의 핵심 요소와 성공요인, 도전과제 및 향후 연구 혹은 실행 방향을 제시한다.
1. 서론
현대의 조직은 비즈니스 환경의 불확실성과 기술 변화 속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디지털 전환, 규제 준수, 경쟁 우위 확보 등이 조직의 전략적 의제이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조직 내 여러 도메인(비즈니스, 정보, 애플리케이션, 기술, 보안, 운영 등)을 조율하고, 전략과 실행(strategy ‒ execution)을 일관되게 연결하며, 변화에 유연하면서도 통제 가능한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EA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는 조직의 관리·설계적 틀(management/design framework)로서 대두되어 왔다.
본 글의 목적은 EA 및 전사 아키텍트의 개념적 기반을 정립하고, 거버넌스 및 도메인 통합 관점에서 조직 전체 차원의 시야를 마련하는 것이다.
2. 기본 개념 및 이론적 배경
2.1 EA(Enterprise Architecture)의 정의
- EA는 조직의 전략, 비즈니스 프로세스, 정보 흐름, 애플리케이션, 기술 인프라 등을 포함한 전체 구조(bricolage)를 명시하고, 현재 상태(as-is)와 목표 상태(to-be)를 설계하며, 둘 사이의 전환(migration) 계획을 수립하는 체계적 프레임워크이다.
- 또한 EA는 변화(change)와 통합(integration), 민첩성(agility)을 확보하고, 중복성(redundancy)과 위험(risk)을 낮추며, 자원의 최적화(resource optimization)를 달성하는 수단이다. 문헌에서는 “seamless integration of customer and operational processes, agility, and the ability to change”가 EA의 핵심 역량으로 언급됨. [1]
2.2 EA의 도메인(Domains)
EA는 여러 도메인(domain)으로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도메인들이 고려된다:
도메인 | 역할 및 주요 내용 |
---|---|
비즈니스 아키텍처 (Business Architecture) | 전략, 조직 구조, 비즈니스 프로세스, 가치 사슬(Value Chain), 비즈니스 역량(capabilities) 등을 정의. 조직 전략과 EA의 정렬(Alignment)이 여기서 출발함. |
정보/데이터 아키텍처 (Information/Data Architecture) | 데이터 모델, 정보 흐름, 데이터 거버넌스, 정보 품질, 데이터 공유 및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 |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Application Architecture) | 응용 시스템(Application)의 기능(feature), 상호작용(interaction), 응용 모듈 및 서비스, 통합(Integration) 구조. |
기술/인프라 아키텍처 (Technology/Infrastructure Architecture) | 하드웨어, 네트워크, 미들웨어, 플랫폼, 기술 표준(technology standards) 및 기술 인프라의 운영. |
보안 아키텍처 (Security Architecture) 및 규제/컴플라이언스 아키텍처 | 개인정보 보호, 인증·인가, 법적/규제 요구사항, 리스크 관리, 운영 보안. 종종 기술 및 정보 아키텍처와 밀접하게 연계됨. |
이들 도메인은 상호 의존적(interdependent)이며, 비즈니스 전략이 기술 인프라 및 보안/데이터 제약(constraints)에 의해 영향을 받고, 반대로 기술적 가능성(technological possibility)이 비즈니스 혁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호작용한다. [8]
2.3 전사 아키텍트(Enterprise Architect)의 역할 및 책임
전사 아키텍트는 조직 내에서 다음과 같은 역할과 책임을 가진다:
- 전략적 비전(Strategic Vision)의 정립: 비즈니스 목표와 환경 변화(시장, 규제, 기술)의 이해 → 미래 상태(to-be architecture) 설계
- 현재 상태(as-is) 진단: 비즈니스 프로세스, 시스템, 정보, 기술 인프라의 현황 파악
- 갭 분석(Gap Analysis) 및 마이그레이션 계획(Migration / Roadmap)의 수립
- 도메인 간 통합(Inter-domain integration)의 조정: 데이터 흐름, 애플리케이션 간 연계, 기술 스택 통합, 보안/컴플라이언스 규제 고려
- 아키텍처 원칙(Architecture Principles), 표준(Standards), 설계 가이드라인(Design Guidelines)의 정의 및 유지
- 이해관계자 (Stakeholders) 관리: 비즈니스, IT, 보안, 규제 담당자 등 다양한 도메인 및 조직 레벨과의 커뮤니케이션 및 협조
- 아키텍처 변화(change)를 관리: 기술 변화, 조직 변화, 환경 변화에 대응 가능케 하는 유연성 확보
- 거버넌스 및 감시(Compliance / Monitoring): 아키텍처 준수(compliance), 아키텍처 리뷰(Architecture Review), 위험(risk) 식별 및 관리
문헌에서는 “Enterprise architects are responsible for envisioning, communicating, and evolving an organization’s enterprise architecture … how the parts (business, data, applications, technology) fit together and evolve over time.” 라는 정의가 있음. [5]
3.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및 원칙
EA의 실행 가능성(realizability)과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을 확보하는 핵심은 거버넌스(governance)이다.
3.1 거버넌스의 정의
- 거버넌스는 EA 관련 의사결정(decision making), 책임(roles), 절차(processes), 정책(policies), 표준(standards)의 체계를 수립하여, 조직 전략(business strategy)과 EA 활동이 일치(alignment)하도록 하는 조직적 메커니즘이다. (leanix.net)
- 또한, 아키텍처 거버넌스는 변화를 관리(change management), 리스크 관리(risk management), 자원의 최적화(resource optimization), 규제/컴플라이언스(compliance) 유지, 이해관계자(stakeholder)의 투명성(transparency) 확보를 포함한다. [7]
3.2 거버넌스의 핵심 구성 요소
문헌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EA 거버넌스의 구성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구성 요소 | 내용 |
---|---|
원칙(Principles) | 조직 전체가 공유하는 아키텍처 원칙, 설계 기준, 표준 등. 의사결정의 기준. [11] |
역할(Role) 및 책임(Responsibility) 정의 | 전사 아키텍트, 도메인 아키텍트, 아키텍처 리뷰 보드(Architecture Review Board), 이해관계자 등. [9] |
의사결정 프로세스(Decision-making processes) | 아키텍처 변경, 신규 시스템 도입, 통합, 표준 적용 여부 등을 검토하고 승인하는 절차. [6] |
표준(Standards) 및 정책(Policies) | 기술, 데이터, 보안,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등에 대한 조직의 기준과 규격. [8] |
모니터링 및 감사(Compliance, Auditing) | 실제 구현이 설계되거나 승인된 아키텍처와 일치하는지 점검함. 표준 위배 요소, 비효율 탐지. [9] |
커뮤니케이션 및 보고(Communication & Reporting) | 이해관계자에게 아키텍처 상태, 변화, 거버넌스 활동을 투명하게 보고함. 조직 내부에서 아키텍처 인식(awareness)를 제고. [9] |
측정 및 지표(Metrics & KPIs) | 아키텍처가 조직 목표에 미치는 영향, 비용 절감, 위험 감소, 변화 대응 속도 등. 거버넌스의 효과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 [10] |
교육 및 역량 개발(Training & Capability Building) | 아키텍처 원칙, 거버넌스 절차, 도메인 전문성(domain expertise)을 조직 구성원들이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 [9] |
3.3 거버넌스 원칙 예시
몇 가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EA 거버넌스 원칙(principles):
- 전략적 정렬(Strategic Alignment): 모든 아키텍처 결정이 조직의 전략 목표 및 비전과 일치해야 한다.
- 단순성 및 명확성(Simplicity & Clarity): 아키텍처 원칙과 표준은 가능한 간단하고 이해하기 쉬워야 하며, 적용 가능한 모든 수준에서 명확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 및 표준화(Standardization): 시스템 간, 부서 간, 조직 간 데이터/프로세스 상호작용(interaction)이 원활해야 하며 표준을 준수함으로써 중복을 줄이고 비용을 절감한다. [8]
- 유연성(Flexibility) 및 변화 수용성(Change Readiness): 기술 변화, 비즈니스 환경 변화, 조직 변화 등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유지해야 한다.
- 책임성과 투명성(Accountability & Transparency): 역할과 책임이 명확하며, 의사결정 및 변경에 대한 기록이 있고, 이해관계자가 접근 가능해야 한다.
- 비용 효율성(Cost-Effectiveness): 아키텍처 설계 및 변경은 수익/비용 분석을 통해 타당성이 있어야 하며 자원 낭비를 최소화해야 한다.
- 규제 및 리스크 준수(Regulatory & Risk Compliance): 법령/규제 요구사항, 보안 요구사항 및 기타 위험 요소를 고려하여 설계 및 실행이 이루어져야 한다.
4. 도메인 간 연계의 중요성 및 도전
EA는 여러 도메인으로 구성되지만, 각 도메인의 독립적 발전만으로는 조직 전체의 최적화가 이루어질 수 없다. 도메인 간의 상호 작용(interaction) 및 통합(integration)이 조직의 민첩성, 비용 절감, 위험 관리 측면에서 중요하다.
4.1 중요성
- 중복성 제거(Redundancy elimination): 여러 부서나 도메인이 유사한 시스템이나 데이터 구조를 독립적으로 갖고 있을 경우, 비효율이 발생함.
- 일관된 사용자 경험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Consistency in business processes and UX): 비즈니스 기능이 부서 간 혹은 고객 접점 간 분절되지 않도록 함.
- 데이터 통합 및 정보 품질(Data Integration & Quality): 정보가 여러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분산되어 있을 경우 정보 무결성(integrity), 일관성(consistency), 접근성(accessibility) 확보가 어렵다.
- 기술 효율성(Technical Efficiency): 인프라나 기술 스택, 미들웨어, 인터페이스, API 등이 도메인 간 연계가 잘 되어 있으면 유지보수 및 확장성이 좋아진다.
- 보안 및 규제 준수(Security & Regulatory Compliance): 도메인 간 경계를 넘는 데이터 흐름과 접근 통제(access control)를 감독할 수 있어야 한다.
4.2 도전 과제
- 이해관계자 간의 다른 우선순위 및 관점(Stakeholder misalignment): 비즈니스 측은 속도(agility), 기능(functionality)를 원하고, 기술/보안 측은 안정(stability), 보안(security), 비용(cost)를 중시하는 경향 있음.
- 복잡도 증가(Complexity): 도메인이 많을수록 통합 노력, 인터페이스 관리, 상호 운용성 확보 등이 복잡해짐.
- 표준 및 정책 간 충돌(Standard/Policy Conflicts): 서로 다른 도메인에서 정의된 표준이 충돌할 수 있고, 정책(예: 보안, 데이터 프라이버시, 법규 준수)이 서로 상충될 우려 있음.
- 조직 문화 및 변화 저항(Cultural Resistance & Change Management): 도메인 간 협력, 정보 공유, 책임 소재의 조정 등이 조직 문화적으로 쉽지 않을 수 있음.
- 거버넌스 성숙도 수준(Varying Maturity Levels): 어떤 도메인은 아키텍처 및 거버넌스 체계가 이미 잘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나, 다른 도메인에서는 매우 낮은 수준일 수 있음.
5. 통합적 프레임워크
EA를 조직 전반에 걸쳐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아래의 통합적(framework) 요소들을 고려해야 한다.
5.1 프레임워크 구조 제안
아래는 조직이 EA 거버넌스 + 도메인 통합 + 전략적 실행을 융합(integrate)하여 운영하기 위한 제안 구조이다. 해당 프레임워크 구조는 표준적인 EA 프레임워크들의 핵심 절차와 요소를 반영하였으나, 어느 한 프레임워크의 원형 그대로는 아니고, 여러 표준을 종합·간소화한 개념적 제안이다.

5.2 EA 프레임워크 구조 + 단계별 방법론 매핑 예시
아래 매핑표는 TOGAF ADM을 기본 틀로 하였으며, BSC·SWOT 같은 비즈니스 전략 도구와 COBIT·ITIL 같은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보완적으로 적용하거나, 금융권(BCBS 239), 공공기관(FEAF) 등 조직 특성에 맞게 커스터마이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계 | 주요 활동 | 적용 가능한 대표 방법론 / 기법 |
---|---|---|
1. 전략 및 비전 정의 | 조직의 전략, 비전, KPI 설정 | – Balanced Scorecard (BSC) – SWOT 분석 – Business Motivation Model (BMM) |
2. 현행 아키텍처 분석 (As-Is) | 현행 비즈니스·데이터·애플리케이션·기술 구조 진단 | – TOGAF ADM Phase B~D (Baseline) – Value Chain 분석 (Porter) – ArchiMate 모델링 |
3. 목표 아키텍처 설계 (To-Be) | 미래상 정의 및 블루프린트 수립 | – TOGAF ADM Phase B~D (Target) – Design Thinking – Capability-Based Planning |
4. 갭 분석 (Gap Analysis) | As-Is ↔ To-Be 간 차이 도출 | – TOGAF Gap Analysis 기법 – Impact Analysis – Stakeholder Mapping |
5. 로드맵 수립 및 우선순위화 | 단계별 실행 로드맵, 투자 계획 | – TOGAF Migration Planning (Phase E, F) – MoSCoW 우선순위 기법 – Portfolio Management (PPM) |
6. EA 거버넌스 및 실행 관리 | EA 지배구조, 의사결정·승인 절차 운영 | – TOGAF Architecture Governance – COBIT (IT Governance Framework) – ITIL (Change & Release Management) |
7. 모니터링 및 지속 개선 | 성과 관리, 개선 사이클 운영 | – TOGAF Phase H (Architecture Change Mgmt) – PDCA 사이클 (Plan–Do–Check–Act) – KPI/OKR 관리 기법 |
5.3 운영 레벨 관점에서의 통합 요소
- 아키텍처 리뷰 보드(Architecture Review Board, ARB): 주요 아키텍처 변경, 신규 시스템 또는 솔루션 도입 시 이를 검토하고 승인하는 전문 위원회.
- Cross-domain 아키텍트 팀 구성: 비즈니스,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기술, 보안 등 각 도메인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아키텍트들로 팀 구성. 각각의 도메인 아키텍트(domain architect)가 전사 아키텍트와 협업.
- 공통 표준, 인터페이스, API 설계 가이드라인: 도메인 간 상호작용을 정의하는 공통 인터페이스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통합과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을 확보.
- 데이터 및 정보 흐름 거버넌스(Data / Information Flow Governance): 데이터 소유권(data ownership), 거버넌스, 데이터 품질(data quality), 메타데이터(metadata), 정보 교환 규약(schema, API 명세) 등을 확보.
- 보안 및 규제 준수 거버넌스(Security & Compliance Governance): 데이터 프라이버시, 접근 제어(access control), 감사(audit), 위험 평가(risk assessment)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
- 변화 관리(Change & Transformation Management): 조직 구조, 프로세스, 역할 및 책임의 변화, 문화적 요소(cultural change)에 대한 준비 및 관리.
- 성과 측정 및 지표 개발(KPIs / Metrics): 전략 목표 대비 기술 투자(return on investment, ROI), 시스템 통합 수준, 변화 속도, 규제 위반 발생 건수, 사용자 만족도 등.
5.4 거버넌스 체계의 레벨별 고려 사항
- 최고 경영진(Level C-suite) 차원: 전략적 비전, 예산 승인, 조직 구조 조정, 위험(risk appetite) 설정
- 관리층(Management) 차원: 도메인 아키텍트, IT 부서, 보안 부서 등이 정책을 실행 및 운영
- 실행팀(Operational) 차원: 개발, 운영, QA, 보안, 인프라 팀 등이 실제 시스템을 구축 및 유지보수
6. 성공 요인 및 도전 과제
6.1 성공 요인 (Critical Success Factors)
- 경영진의 지지(Executive Sponsorship): 최고 경영진의 전략적 인식 및 자원 할당이 있어야 EA가 조직적으로 우선순위를 갖게 됨.
- 역량과 전문성(Competence & Skills): 전사 아키텍트 및 도메인 아키텍트들이 비즈니스·기술·보안 등 다양한 도메인 지식을 보유해야 함.
- 명확한 원칙 및 표준(Well-defined Principles & Standards): 조직 전체가 공유하는 설계 원칙과 기술/데이터/보안 표준의 존재.
- 효과적 거버넌스 메커니즘(Effective Governance Mechanisms): 의사결정 절차, 리뷰 보드, 역할 책임 명확화, 준수 감사, 투명한 커뮤니케이션 구조 등이 갖추어져야 함.
- 도메인 통합에 대한 의식(Inter-domain awareness & integration mindset): 도메인 간 경계(boundary)를 인식하고 조율(co-ordination)하려는 노력이 조직 문화 및 프로세스에 내재되어야 함.
- 단계적 도입 및 지속적 개선(Incremental adoption & continuous improvement): 한 번에 완제품처럼 모든 걸 완성하려 하기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영역 중심으로 구현하고, 피드백을 바탕으로 개선 반복적(iterative)으로 수행함.
6.2 주요 도전 과제
- 조직 내부의 저항 및 문화적 장벽(Cultural Resistance): 변화에 대한 거부감, 도메인 간 경쟁, 소유권 이슈 등이 갈등 유발
- 기술 및 표준의 빠른 변화(Rapid Technological Change): 클라우드, AI/ML, 확장 가능한 인프라 등의 기술 변화가 EA 계획을 자주 수정해야 하게 함
- 복잡도 관리(Managing Complexity): 도메인 수, 시스템 수, 인터페이스, 규제 요건 등이 많을수록 복잡성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 가치(Value) 증명 어려움(Difficulty in Demonstrating Value): EA 및 거버넌스 메커니즘에 대한 투자 대비 이득(return)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으면 지원 지속이 어렵다.
- 자원(Resource) 제약: 예산, 인력, 전문 기술 부족 등이 조직 규모 또는 업종에 따라 제약 요인이 됨.
- 거버넌스 과잉(Bureaucracy) 또는 경직성(Overspecification / Rigidity): 거버넌스가 과도하게 복잡하거나 비효율적이면 속도를 저해하고 혁신을 방해할 수 있음.
7. 통합적 시각 및 제언
조직이 EA 책임자와 거버넌스를 통해 도메인 간 통합을 이루고자 할 때 아래 제언들이 유용하다.
- EA maturity model 진단
조직이 현재 EA 및 거버넌스, 도메인 연계(inter-domain coordination)의 성숙도(maturity)가 어느 단계인지 진단하고, 부족한 영역을 우선적으로 보완하는 전략 수립. - 우선순위 기반의 로드맵 수립
전략적 영향도가 큰 사업 혹은 기술, 데이터 통합이 가능한 영역부터 시작. 작은 성공 사례(pilot project)를 통해 기반을 확보하고 확장. - 아키텍처 원칙 및 정책 수립 강조
명확하고 실행 가능한 원칙은 도메인 간 충돌을 사전에 방지함. 예를 들어, 데이터 공유 정책, 보안 정책, 기술 스택 선택 기준 등. - Cross-domain 팀 구성 및 거버넌스 구조 설계
각 도메인의 대표자(domain architect), 보안, 데이터, 기술 전문가, 비즈니스 대표가 포함된 아키텍처 위원회(ARB) 운영. 역할과 책임 명확히 정의. - 유연한 아키텍처 메커니즘
변화가 많은 환경에서는 설계의 유연성(flexibility)과 모듈화(modularity)를 고려. 기술 및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가 변화에 적응 가능하도록 레이어(layered) 혹은 마이크로서비스(microservices), API-기반 설계 등이 유리함. - 피드백 루프 및 지속적 개선
구현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비용-이익 분석, 사용자 및 운영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아키텍처 및 거버넌스를 조정. - 가치(Value)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EA 활동이 조직에 주는 가치를 명확히 측정하고 (예: 비용 절감, 변화 대응 속도, 위험 감소), 이해관계자에게 지속적으로 공유하여 지원(지속적인 예산, 조직적 지원)을 확보.
8. 결론
EA 및 전사 아키텍트의 역할은 조직이 전략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역량(dynamic capability)을 확보하는 데 핵심적이다. 특히 거버넌스와 도메인 간 통합은 단순한 기술 혹은 IT 운영의 문제가 아닌 조직 전체의 구조, 조직 문화, 의사결정 체계, 이해관계자 간 소통을 포함하는 복합적 시스템이다.
성공적인 EA의 구축 및 운영을 위해서는 전략적 정렬, 명확한 원칙, 도메인 간 통합 메커니즘, 거버넌스 제도, 변화 관리, 그리고 지속적 개선이라는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작동해야 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조직 특성, 업종, 규모, 문화에 따라 달라지므로, 조직 맞춤형(Customized)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참고 문헌 (References)
아래는 본 글 작성 시 참고한 주요 문헌 및 자료들이다.
- J. A. P. Hoogervorst, “Enterprise Architecture: Enabling Integration, Agility And Change”, ResearchGate (논문), 2016. (ResearchGate)
- Enterprise Architecture and IT Governance to Support the BizDevOps Projects, G. Fuentes-Quijada et al., Springer, 2024. (SpringerLink)
- Enterprise Architecture Governance Fundamentals, SparxSystems Guide. (sparxsystems.us)
- The Common Approach to Federal Enterprise Architecture, U.S. White House / OMB, 2012. (whitehouse.gov)
- Enterprise Architecture Roles and Responsibilities, PMI / Disciplined Agile. (프로젝트 관리 연구소)
- Comprehensive Guide to Architecture Governance in TOGAF, VisualParadigm article (2025). (Visual Paradigm TOGAF)
- Enterprise Architecture Governance: The ultimate guide, N-IX (2025). (Software Development Company – N-iX)
- Demystifying Enterprise Architecture Domains, CIOIndex article. (CIO Portal)
- Conexiam, “The Basics of Enterprise Architecture Governance”, Conexiam, [Online]. Available: https://conexiam.com/basics-of-enterprise-architecture-governance/ [Accessed: Sep. 23, 2025].
- Ardoq, “Enterprise Architecture Governance: The Guide to Why It Matters”, Ardoq Knowledge Hub, Jul. 3, 2024, by Leah Plotz, [Online]. Available: https://www.ardoq.com/knowledge-hub/enterprise-architecture-governance [Accessed: Sep. 23, 2025].
- Superblocks, “12 Enterprise Architecture Principles to Future-Proof IT in 2025”, Superblocks Blog, Feb. 28, 2025, [Online]. Available: https://www.superblocks.com/blog/enterprise-architecture-principles [Accessed: Sep. 23,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