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키텍처 도메인4. 기능 아키텍트(FA : Functional Architect)의 역할과 전문성에 관한 고찰

1. 서론

FA(Functional Architect, 기능 아키텍트)는 현대 조직이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운영하는 재무, 인사, 물류, 생산, 영업 등 다양한 기능 영역의 복잡한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바라보며, 각 기능 단위가 전략적 목표와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설계하고 조율하는 핵심 전문가이다. 특히 FA는 기능 간 중복과 단절을 최소화하고, 상호 연계와 조화를 통해 전체 조직이 효율적이고 민첩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아키텍처적 원칙과 실행 방안을 제시한다[1]. 이러한 FA비즈니스 아키텍처(BA)의 세부 영역으로서 특정 기능 도메인에 초점을 맞추는 역할을 하며, BA가 전사적 차원의 비즈니스 구조와 전략적 연계를 다루는 반면, FA는 해당 구조를 구체적인 기능 단위에서 구현하고 최적화하는 책임을 맡는다.

FA는 특정 도메인(예: 재무, 인사, 물류 등)에 특화된 기능 아키텍처를 정의하고, 해당 기능이 조직의 전체 아키텍처(Enterprise Architecture, EA) 내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하도록 조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FA의 역할과 주요 활동, 필요 역량, 직무 수행의 어려움, 활용 방법론과 도구, 산출물, 그리고 커리어 발전 경로에 대해 체계적으로 고찰한다.

2. FA의 정의와 역할

FA는 특정 기능 영역에 대한 업무 요구사항, 규제 요건, 시스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기능적 아키텍처로 구현하는 전문가이다[2].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다:

  • 도메인 전문성 확보: 재무, 인사, 물류, 영업 등 특정 영역의 업무 규칙과 요구사항을 깊이 이해한다.
  • 기능 모델링: 업무 프로세스와 데이터 흐름을 정의하고, 기능 간 상호작용을 설계한다.
  • 통합 아키텍처 연계: 도메인 기능을 EA 및 IT 아키텍처와 연결하여 전체 시스템 간 일관성을 보장한다.
  • 변경 관리 지원: 기능 요구사항 변경이 다른 시스템 및 도메인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관리한다.

즉, FA는 특정 도메인에서 전략과 운영, 시스템 간의 기능적 일관성과 효율성을 확보하는 핵심 역할을 담당한다.

3. FA의 주요 업무

FA가 수행하는 주요 업무는 크게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3]:

  1. 요구사항 분석 및 기능 정의
    • 이해관계자와의 인터뷰 및 워크숍을 통해 요구사항 수집
    • 기능적 요구사항을 구조화하고 우선순위를 설정
  2. 기능 아키텍처 설계
    • 기능 블록, 프로세스 모델, 데이터 흐름 다이어그램(DFD) 설계
    • ERP, CRM, HRM 등 주요 시스템과 연계 구조 정의
  3. 기능적 품질 보장
    • 설계가 규제 요건(예: 회계 기준, 노동법, 무역 규정 등)을 충족하는지 검토
    • 성능, 보안, 사용성 등 비기능 요구사항을 반영
  4. 테스트 및 검증 지원
    • 시스템 테스트와 UAT(User Acceptance Test) 단계에서 기능 요구사항이 충족되는지 검증
  5. 지속적 개선 및 최적화
    • 새로운 기술 및 비즈니스 요구 변화에 따라 기능 아키텍처를 업데이트

4. FA에게 요구되는 사전 학습 영역

FA는 특정 기능 영역의 전문가이자 아키텍트로서, 다음과 같은 사전 학습이 필요하다[4]:

  • 도메인 지식: 예를 들어 재무 FA는 국제회계기준(IFRS), 인사 FA는 노동법 및 HR 프로세스, 물류 FA는 공급망 관리(SCM)와 물류 최적화 지식을 숙지해야 한다.
  •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BPMN, UML 등 프로세스 모델링 언어와 분석 기법에 대한 이해.
  • 정보기술 이해: ERP, CRM, HRM, WMS 등의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아키텍처 구조와 연계성 이해.
  • 프로젝트 관리 역량: 요구사항 관리, 범위 조정, 변경 관리에 대한 경험.

5. FA 직무 수행의 어려움

FA가 직면하는 대표적인 도전 과제는 다음과 같다[5]:

  • 도메인 간 충돌: 특정 기능 최적화가 다른 도메인(예: 재무와 물류)과 충돌할 수 있음.
  • 규제 및 표준 준수: 지속적으로 변하는 법규와 표준에 기능 아키텍처를 맞춰야 함.
  • 기술적 복잡성: 다양한 IT 시스템 및 플랫폼 간 통합의 어려움.
  • 이해관계자 관리: 경영진, 운영자, IT 부서 간 상충하는 요구사항 조율.

6. FA 업무 프로세스 및 주요 산출물

FA는 업무 수행 각 단계는 다음과 같으며 각 과정에서 다양한 방법론과 도구를 활용하며, 이를 통해 명확한 산출물을 도출한다.

  1.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
    • 비즈니스 목표, 기능적 요구사항, 규제 요건 파악
    • 이해관계자 요구사항 정리 및 우선순위 부여
  2. 기능 정의 및 모델링
    • 주요 기능, 역할, 프로세스의 구조화 및 시각화
    • 시스템·조직·프로세스와의 연계 분석
  3. 아키텍처 설계 및 최적화
    • 기능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작성
    • 기능 간 상호작용 및 인터페이스 정의
    • EA(Enterprise Architecture)와 정합성 확보
  4. 검증 및 구현 지원
    • 기능 테스트 케이스 정의 및 실행 지원
    • 기능 간 통합 검증, Agile·SAFe 방식으로 반복적 개선
  5. 거버넌스 및 지속적 개선
    • 규제·표준 준수 점검
    • 기능 성과 모니터링 및 최적화 제안

6.1 방법론, 도구, 산출물

FA에 사용되는 방법론

  • BPMN (Business Process Model and Notation): 프로세스 모델링 및 기능 정의.
  • UML (Unified Modeling Language): 기능 다이어그램, 유스케이스 모델링.
  • ArchiMate: EA와 연계한 기능적 관점 모델링.
  • Agile 및 SAFe: 요구사항 정의 및 반복적 기능 검증.
  • TOGAF ADM: EA와 연계된 기능 아키텍처 수립 프레임워크.

FA에 사용되는 도구

  • 모델링 도구: Lucidchart, Visio, Bizagi, Signavio.
  • EA 도구: Ardoq, MEGA International, Orbus iServer.
  • 요구사항 관리 도구: Jira, Confluence, IBM DOORS.
  • BI 및 분석 도구: Power BI, Tableau, Qlik.

FA 주요 산출물

  • 기능 요구사항 정의서(FRD, Functional Requirements Document)
  • 기능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 프로세스 맵 및 기능 흐름도
  • 기능 간 인터페이스 정의서(IFD, Interface Design Document)
  • 규제 및 표준 준수 체크리스트
  • 기능 테스트 케이스 및 결과 보고서

6.2 FA 업무 프로세스 단계별 산출물

단계주요 활동방법론/도구주요 산출물
1.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이해관계자 요구사항 정의, 목표·규제 요건 분석Agile User Story, Jira, Confluence, IBM DOORS기능 요구사항 정의서(FRD), 요구사항 추적 매트릭스
2. 기능 정의 및 모델링기능 구조화, 프로세스 흐름 도출BPMN, UML, ArchiMate, Lucidchart, Visio, Bizagi, Signavio프로세스 맵,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기능 흐름도
3. 아키텍처 설계 및 최적화기능 간 연계 구조 설계, EA와 정합성 확보TOGAF ADM, ArchiMate, EA 도구(Ardoq, MEGA, Orbus iServer)기능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기능 간 인터페이스 정의서(IFD)
4. 검증 및 구현 지원기능 검증, 반복적 개선, 테스트 관리Agile, SAFe, Jira, 테스트 관리 도구기능 테스트 케이스, 테스트 결과 보고서
5. 거버넌스 및 지속적 개선표준·규제 준수 검토, 기능 성과 분석규제 체크리스트, BI 도구(Power BI, Tableau, Qlik)규제 준수 체크리스트, 성과 분석 리포트

7. FA의 커리어 발전 경로

FA는 도메인 전문성과 아키텍처 역량을 동시에 요구받는 직무이므로, 커리어 발전 경로도 단계적이다[6]:

  1. 초급 단계: 비즈니스 분석가(BA) 또는 시스템 분석가로 시작, 특정 도메인 프로세스 이해.
  2. 중급 단계: 특정 기능 영역에 특화된 FA 역할 수행. ERP 모듈(예: SAP FI/CO, HCM, MM) 담당.
  3. 고급 단계: 복수 도메인 통합 FA 또는 솔루션 아키텍트로 성장.
  4. 최종 단계: 엔터프라이즈 아키텍트(EA)로 발전하여 기업 전체 아키텍처 전략 총괄.

8. 결론

FA는 특정 기능 영역에서 조직의 전략적 목표와 시스템 실행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FA는 도메인 지식을 기반으로 기능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BPMN, UML, ArchiMate, TOGAF 등의 방법론과 다양한 EA·모델링 도구를 활용하여 구체적인 산출물을 도출한다. 또한 도메인 간 충돌, 규제 준수, 기술 통합 등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FA는 기능적 일관성과 최적화를 통해 조직의 성과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나아가 FA는 커리어 발전을 통해 EA로 성장할 수 있는 경로를 보유하며, 이는 조직의 디지털 전환 및 전략 실행에서 핵심적인 자산으로 작용한다.

참고문헌

[1] Gartner, “Role of the Functional Architect in Enterprise Architecture,” Gartner Research, 2023.
[2] Conexiam, “Enterprise Architecture Governance and Functional Roles,” Conexiam Blog, 2024. [Online]. Available: https://conexiam.com/basics-of-enterprise-architecture-governance/
[3] Ardoq, “Enterprise Architecture Governance,” Ardoq Knowledge Hub, 2024. [Online]. Available: https://www.ardoq.com/knowledge-hub/enterprise-architecture-governance
[4] The Open Group, “TOGAF® Standard, 10th Edition,” The Open Group, 2022. [Online]. Available: https://www.opengroup.org/togaf [Accessed: Sep. 25, 2025].
[5] Superblocks, “Enterprise Architecture Principles and Functional Domains,” Superblocks Blog, 2023. [Online]. Available: https://www.superblocks.com/blog/enterprise-architecture-principles
[6] MEGA International, “Career Paths in Business and Functional Architecture,” MEGA Whitepaper, 2024.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