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로 사이트를 구축하면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가 바로 도메인 연결과 SSL 설정입니다. 도메인 연결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사이트에 접근할 수 없고, SSL 설정을 적용하지 않으면 보안에 취약해지며 검색엔진 최적화(SEO)에도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방법과 카페24를 비롯한 다양한 호스팅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노하우를 정리했습니다.
1. 도메인 구매 (카페24 또는 외부)
도메인은 사이트의 주소 역할을 합니다. example.com
처럼 사용자가 쉽게 기억할 수 있는 이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메인 연결과 SSL 설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메인을 구매해야 합니다.
1-1. 카페24를 통한 도메인 구매
카페24는 호스팅뿐 아니라 도메인 등록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워드프레스 설치 후 바로 도메인 연결이 가능
- 관리 콘솔에서 호스팅과 도메인을 함께 관리할 수 있어 편리함
- 기본적인 DNS 관리 기능 제공
카페24 도메인 구매 과정은 간단합니다:
- 카페24 메인에서 [도메인 등록] 메뉴 선택
- 원하는 도메인 검색 후 사용 가능 여부 확인
- 구매 및 결제 진행
이후, DNS 설정은 카페24 호스팅 계정과 자동으로 연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워드프레스를 처음 시작하는 분들에게 추천됩니다.
1-2. 외부 업체를 통한 도메인 구매
가비아, 닷네임코리아, GoDaddy, Namecheap 같은 외부 도메인 등록기관을 통해서도 구매가 가능합니다. 외부 업체를 선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다양한 도메인 확장자(TLD) 제공 (.shop, .design, .ai 등)
- 프로모션을 통한 저렴한 초기 비용
- 국제적으로 사용하기 적합
외부 업체에서 구매한 도메인은 도메인 연결과 SSL 설정 단계에서 DNS 네임서버를 카페24 호스팅으로 지정해야 합니다. 즉, 도메인은 외부에서 관리하지만 실질적인 웹사이트 운영은 카페24에서 담당하는 구조입니다.
2. 도메인과 호스팅 연결
도메인을 구매했다면 이제 호스팅과 연결해야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한 도메인이 실제 서버의 IP 주소를 가리키게 됩니다. 도메인 연결과 SSL 설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과정이 바로 이 부분입니다.
2-1. 네임서버(NS) 설정
외부 도메인을 사용한다면 DNS 네임서버를 카페24 호스팅에서 제공하는 값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카페24 네임서버는 다음과 같습니다:
- ns1.cafe24.com
- ns2.cafe24.com
외부 도메인 관리 콘솔에서 위와 같이 설정하면, 보통 24~48시간 이내에 전세계 DNS 서버에 반영됩니다.
2-2. 도메인 연결 실무 팁
- 메인 도메인과 www 서브도메인 동시 연결 :
example.com
과www.example.com
을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자 접근성을 높입니다. - 리디렉션 설정 : 두 도메인 중 하나를 기본으로 설정해 중복 콘텐츠 문제를 방지합니다.
- 테스트 방법 :
ping example.com
명령어나nslookup
을 이용해 올바르게 연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도메인 연결과 SSL 설정은 반드시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도메인을 연결만 하고 SSL을 적용하지 않으면 사용자 브라우저에서 “안전하지 않음” 경고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3. 무료 SSL 인증서 적용
SSL(Secure Sockets Layer)은 사용자와 서버 간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안성을 강화합니다. 최근 브라우저들은 SSL이 적용되지 않은 사이트에 대해 보안 경고를 표시하기 때문에, 워드프레스 운영자라면 반드시 SSL 설정을 해야 합니다.
3-1. 카페24에서 무료 SSL 발급
카페24는 기본적으로 Let’s Encrypt 무료 SSL 인증서를 제공합니다.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카페24 관리자 콘솔 접속
- [보안 > SSL 관리] 메뉴 선택
- 도메인을 선택 후 무료 SSL 인증서 발급 클릭
몇 분 이내에 SSL 인증서가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이후 워드프레스 관리자 설정에서 “https://”로 접속 주소를 변경해야 합니다.
3-2. 워드프레스에서 SSL 설정
워드프레스에서 SSL을 적용하려면:
- 사이트 주소 변경 : 워드프레스 설정 > 일반 메뉴에서 사이트 주소(URL)를
https://도메인
으로 변경 - 리디렉션 플러그인 활용 : Really Simple SSL 같은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자동으로 SSL 리디렉션이 적용됩니다.
- Mixed Content 오류 해결 : 사이트 내 이미지나 스크립트가 여전히 http 경로를 사용한다면, 이를 https로 교체해야 완벽한 SSL 설정이 가능합니다.
3-3. 외부 SSL 적용
만약 유료 SSL 인증서를 구입했다면 CSR 생성 → 인증서 발급 → 서버 설치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이 경우에도 최종적으로 워드프레스 설정에서 https로 주소를 변경해야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4. 보안서버 설정 팁
SSL 인증서 적용만으로는 보안이 완벽하지 않습니다. 추가적인 보안서버 설정을 통해 사이트를 더욱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 연결과 SSL 설정을 마무리하는 단계에서 다음 사항을 반드시 점검해야 합니다.
4-1. HSTS 적용
HSTS(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를 적용하면 브라우저가 항상 https 연결만 시도합니다. 아파치나 Nginx 설정 파일에 다음과 같은 헤더를 추가합니다:
Strict-Transport-Security: max-age=31536000; includeSubDomains; preload
4-2. TLS 버전 관리
SSL 3.0이나 TLS 1.0은 보안 취약점이 많습니다. 반드시 TLS 1.2 이상을 사용하도록 서버를 설정하세요.
4-3. 보안 플러그인 설치
워드프레스의 경우 Wordfence, iThemes Security 같은 보안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SSL과 함께 전반적인 보안 강화가 가능합니다.
4-4. 정기적인 SSL 갱신 확인
무료 SSL 인증서(Let’s Encrypt)는 90일마다 자동 갱신되지만, 환경에 따라 갱신 실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SSL 유효기간을 점검하세요.
4-5. 일반 사용자가 보안 설정
- SSL 인증서 신청 및 적용
(카페24 콘솔이나 워드프레스 플러그인을 통해 쉽게 가능) - 워드프레스 주소를 https로 변경
(설정 → 일반 메뉴에서 사이트 주소 수정) - Really Simple SSL 같은 플러그인 설치
(자동 리디렉션, Mixed Content 문제 해결) - 보안 플러그인 설치
(Wordfence, iThemes Security 등으로 로그인 보호, 파일 권한 강화) - SSL 갱신 확인
(무료 SSL은 90일마다 갱신되므로, 만료 전 확인 필요)
4-6. 호스팅업체에서 설정
- HSTS(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
아파치/NGINX 서버 설정 파일에 보안 헤더를 추가해야 하는데,
공유호스팅 환경에서는 직접 접근 불가 → 대부분 호스팅사가 기본 제공 - TLS 버전 관리 (TLS 1.2 이상 적용)
서버 레벨의 OpenSSL/TLS 설정이라 사용자가 제어 불가 → 호스팅사가 최신 버전 적용 여부 관리 - 방화벽 설정, WAF(Web Application Firewall)
서버 또는 클라우드 보안 장비에서 제공, 일반 사용자는 접근 불가
4-7. 정리
- 공유호스팅(카페24, Bluehost, GoDaddy 등)을 쓰는 경우 → 보안 서버 관련 고급 설정(HSTS, TLS, 방화벽)은 대부분 호스팅사가 미리 세팅해놓습니다.
- VPS나 클라우드 서버(AWS, GCP, Azure 등)를 직접 운영하는 경우 → 사용자가 직접 HSTS, TLS 설정을 해야 하고 서버 관리 지식이 필요합니다.
- 즉, 일반 사용자는 SSL 신청·워드프레스 설정·플러그인 설치까지 하면 되고, 서버 레벨 보안 설정(HSTS, TLS)은 호스팅 업체에서 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결론 : 도메인 연결과 SSL 설정은 사이트 운영의 필수 조건
워드프레스를 활용한 웹사이트 구축에서 도메인 연결과 SSL 설정은 단순한 옵션이 아닌 필수 조건입니다. 올바르게 설정해야만 사용자가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고, 검색엔진 최적화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도메인 구매부터 도메인과 호스팅 연결, 무료 SSL 인증서 적용, 보안서버 설정 팁까지 단계별로 살펴봤습니다. 실제로 워드프레스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도메인 연결과 SSL 설정은 가장 많이 문의되는 주제이자, 제대로 설정하지 않으면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앞으로 워드프레스 운영을 준비하고 있다면, 오늘 다룬 가이드를 참고해 반드시 도메인 연결과 SSL 설정을 올바르게 마무리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문헌 및 출처
- 카페24 공식 사이트. (2025). 카페24 도메인 및 SSL 가이드
- Let’s Encrypt. (2025). Official Documentation
- WordPress Codex. (2025). Administration Over SSL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2023). “SSL/TLS 보안 가이드라인”
- GoDaddy, Namecheap, GABIA 공식 문서 (2025 기준)
- Mozilla Developer Network(MDN). (2024). 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 (HSTS)
관련 글
- 워드프레스 10.1 워드프레스 기획의 첫걸음 : 사이트 설계 & 카페24 호스팅 이해
- 워드프레스 10.2 : 도메인 연결과 SSL 설정 완벽 가이드
- 워드프레스 10.3 워드프레스 설치 및 기초설정 가이드
- 워드프레스 10.4 플러그인 설치 및 구조 세팅 – 초보자 완전 가이드
- 워드프레스 10.5 콘텐츠 작성 방법과 플러그인 추천
- 워드프레스 10.6 블로그 디자인 개선 가이드
- 워드프레스 10.7 SEO 기초 세팅 완벽 가이드
- 워드프레스 10.8 애드센스 신청 방법
- 워드프레스 10.9 광고코드 삽입 방법
- 워드프레스 10.10 블로그 승인 후 수익화 전략 완벽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