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T API 연동 기초: 노코드 툴로 시작하기
GPT API를 실무에 적용하고 싶은데, 코딩을 잘 모른다면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다행히 요즘은 노코드 툴을 활용하면 개발 지식이 전혀 없어도 충분히 GPT API를 연동하고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노코드 기반으로 GPT를 실습하고자 하는 분들을 위해, 기획자와 비개발자도 따라할 수 있는 기초 단계별 설명과 실습 예제를 제공합니다.
특히, GPT를 실무에 적용해보고 싶은데 어떻게 API를 불러와야 할지 몰라 막막했던 분들에게 참고가 될것입니다.
노코드 툴이란? 왜 중요한가?
노코드 툴(No-code tool)은 말 그대로 ‘코드를 작성하지 않고도’ 소프트웨어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일반적으로 시각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자동화 흐름을 만들 수 있습니다.
GPT API와 같은 인공지능 기능도 노코드 툴을 통해 손쉽게 연동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GPT를 호출하고, 결과를 Google Sheet, Notion, Slack 등에 자동으로 전달하는 흐름을 만들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노코드 툴은 다음과 같습니다:
- Zapier
- Make (구 Integromat)
- Pipedream
- n8n (비주얼 기반 오픈소스)
- Tally, Glide, Softr (UI 제작 도구와도 연동 가능)
개발자 vs 비개발자: 툴 선택 가이드
GPT API 연동 시, 개인의 배경에 따라 적합한 노코드 툴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음은 개발자와 비개발자 관점에서 툴 선택을 비교한 표입니다:
항목 | 비개발자(기획자, 마케터) | 개발자(코딩에 익숙한 사용자) |
---|---|---|
추천 툴 | Zapier, Make | Pipedream, n8n |
사용 난이도 | 매우 쉬움 | 중간 이상 |
UI 구성 | 시각적, 클릭 기반 | 스크립트 설정 포함 |
API 키 설정 방식 | 간단한 입력창 제공 | 요청 헤더 직접 설정 |
확장성 | 제한적이나 직관적 | 고급 흐름 설정 가능 |
예외 처리 | 다소 부족함 | 분기, 에러 핸들링 가능 |
무료 사용 한도 | 넉넉한 편 | 기능별 상이 |
학습 곡선 | 낮음 | 중간 이상 |
실무 적용 예 | Notion에 글 자동 정리, 이메일 요약 |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성, GPT 기반 챗봇 구축 |
결론: 비개발자는 Zapier나 Make와 같은 간단한 노코드 툴로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개발자라면 좀 더 유연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도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실습 예제1 : Zapier로 GPT API 연동하기
여기서는 Zapier를 사용해 GPT API를 호출하고, 그 결과를 Notion에 자동 저장하는 실습 예제를 다룹니다. 코딩이 전혀 없어도 가능합니다.
1단계: OpenAI API 키 발급
- OpenAI 계정 생성 후 https://platform.openai.com/account/api-keys 접속
- “Create new secret key” 버튼 클릭
- 생성된 키를 복사하여 메모장에 임시 저장 (Zapier에서 입력할 예정)
비고: 이 키는 비공개이므로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2단계: Notion 데이터베이스 준비
- Notion에서 빈 페이지 생성
- “+ 테이블”을 선택하여 새 데이터베이스를 추가
- 칼럼명은
Title
,Content
,Date
등 원하는 구성으로 설정 - Notion API 통합 생성 후 DB 공유 대상에 추가
3단계: Zapier에 GPT API 연결
- Zapier에 로그인 후 “+ Create Zap” 선택
- Trigger는 “Schedule by Zapier” (예: 매일 오전 9시)
- Action은 “Webhooks by Zapier” 선택
- Method는 POST
- URL:
https://api.openai.com/v1/chat/completions
- Headers와 Body 설정 예시:
Headers:
Authorization: Bearer [API_KEY]
Content-Type: application/json
Body:
{
"model": "gpt-4",
"messages": [
{"role": "system", "content": "You are a helpful assistant"},
{"role": "user", "content": "오늘의 마케팅 인사이트를 요약해줘"}
]
}
- 테스트 후 GPT 응답 확인
4단계: GPT 응답을 Notion으로 전송
- 다음 액션으로 “Notion” 선택
- 앞서 생성한 데이터베이스 선택
Title
에는 날짜,Content
에는 GPT 응답 연결- 테스트 실행 → Notion에 자동으로 글이 입력되는지 확인
이 과정을 통해 매일 정해진 시간에 GPT가 콘텐츠를 생성하고, 그것이 Notion에 자동으로 등록되는 흐름이 완성됩니다.
실습 예제 2: 뉴스 요약 및 워드프레스 자동 포스팅
이 실습에서는 세 가지 주요 단계를 자동화합니다.
- 구글 알리미(뉴스 알림)로 주요 키워드 기반 뉴스 수집
- 수집된 뉴스 내용을 GPT로 요약
- 요약 내용과 뉴스 링크 목록을 워드프레스 블로그에 자동 게시
1단계. 구글 알리미 → 이메일로 뉴스 수집
항목 | 내용 |
---|---|
목표 | 설정한 키워드의 뉴스 목록을 매일 이메일로 자동 수신 |
사용 도구 | Google Alerts |
실행 방법 | 원하는 키워드(예: “AI 자동화”, “노코드 툴”)를 입력하고, 이메일 수신을 설정합니다. 매일 주요 뉴스 목록이 이메일로 도착합니다. |
참고 팁 | 수신 주기는 “하루 한 번” 또는 “발생 시 즉시”로 설정 가능합니다. |
2단계. Gmail → Zapier로 뉴스 추출 및 GPT 요약
항목 | 내용 |
---|---|
목표 | 도착한 뉴스 목록을 자동 추출하여 GPT를 통해 요약 |
사용 도구 | Zapier, OpenAI API |
실행 방법 | Zapier 트리거 설정: “Gmail – 새로운 이메일 수신”으로 자동 감지 필터 적용: 구글 알리미 발신 이메일만 추출 Parser 도구 활용 (선택): 이메일 본문에서 뉴스 제목과 링크 추출 GPT 요약: Zapier의 OpenAI 액션 사용 Prompt 예시: "다음 뉴스 기사 목록을 요약해줘. 각 항목은 3줄 이내로 정리해줘. \n\n [뉴스 제목 + 링크 나열]" 출력 결과: 요약된 뉴스 목록 | |
3단계. WordPress에 자동 게시
목표 : 요약된 뉴스 목록을 워드프레스 블로그에 자동 등록
사용도구 : Zapier, WordPress
실행방법 :
- Zapier 액션 설정: “WordPress – Create Post” 선택
- 제목 구성: 날짜 포함 예시 —
"[요약 뉴스] 2025년 7월 14일 주요 AI 뉴스"
- 본문 포맷 예시:
### 오늘의 주요 뉴스 요약
- **뉴스 1 제목**
[원문 보기](뉴스 링크)
요약: GPT가 요약한 3줄
- **뉴스 2 제목**
[원문 보기](뉴스 링크)
요약: GPT가 요약한 3줄
...
*본 포스팅은 GPT 기반 뉴스 요약 자동화로 작성되었습니다.*
워크플로우 구성 요약
단계 | 설명 | 도구 | 사용자 액션 |
---|---|---|---|
1 | 뉴스 수집 | Google Alerts | 키워드 입력 및 이메일 수신 설정 |
2 | 뉴스 추출 & 요약 | Zapier, Gmail, OpenAI | Zap 시나리오 구성, GPT 프롬프트 작성 |
3 | 블로그 게시 | Zapier, WordPress | 자동 포스팅 설정 |
추가 팁: 자동화 흐름 고도화
- 뉴스 링크 내 내용까지 요약하려면?
→ 링크된 기사 원문을 RSS or Web Scraper로 수집 + GPT로 요약하는 과정을 추가하면 더욱 정교한 콘텐츠 작성 가능 - 시간별 뉴스 분류, 카테고리 자동 지정
→ GPT 프롬프트에 “정치/경제/기술” 같은 분류 분류 지시를 넣으면 자동 분류 가능
이와 같은 노코드 툴 기반 자동화는 하루 한 번의 설정만으로 뉴스 콘텐츠 큐레이션과 블로그 운영을 동시에 자동화할 수 있는 강력한 워크플로우입니다. 기획자나 마케터 입장에서 단순 반복 업무를 줄이고, 인사이트 중심의 작업에 더 많은 시간을 쓸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GPT 연동 자동화가 유용한 실무 사례
- 블로그 초안 자동 생성
- 뉴스 요약 자동화
- 주간 리포트 생성
- 고객 피드백 요약
- 회의록 자동 정리
- 콘텐츠 큐레이션
이처럼 노코드 툴을 활용한 GPT API 연동은 단순 반복 작업을 줄이고,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창의적인 업무에 집중하게 도와줍니다.
실습자 참고용 액션 요약
단계 | 실습자가 해야 할 일 | 도구 |
---|---|---|
1단계 | OpenAI API 키 발급 및 보관 | OpenAI |
2단계 | Notion DB 생성 및 API 연결 권한 부여 | Notion |
3단계 | Zapier에서 Webhook 설정 및 GPT 호출 | Zapier |
4단계 | GPT 응답을 Notion DB에 매핑 | Zapier + Notion |
노코드 툴이 처음이라도 위 표를 따라가면 한 단계씩 실습이 가능합니다.
다음 회차 예고: 자동화 워크플로우 고도화
오늘은 노코드 툴을 사용한 GPT API 연동의 기초를 다뤘습니다. 다음 회차에서는 실제 실무 환경에서 마주치게 되는 예외 상황, 조건 분기, 에러 처리 등을 자동화 워크플로우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봅니다. 다음 주제는 “자동화 워크플로우 고도화: 분기와 예외 처리”입니다.
AI 업무 자동화 28일 프로젝트 시리즈
- AI 업무 자동화 – 01. 1인 자동화 시스템이란?
- AI 업무 자동화 – 02. 자동화 vs 아웃소싱
- AI 업무 자동화 – 03. 체크리스트
- AI 업무 자동화 – 04. 도구 지도 그리기
- AI 업무 자동화 – 05. 워크플로우 시각화 툴 3가지
- AI 업무 자동화 – 06. 콘텐츠 작성 프로세스 간소화
- AI 업무 자동화 – 07. 주간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