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커리어 & 프리랜서 전략 09 : IT 컨설턴트가 되는 방법 – 필요한 자격증과 스킬

IT 분야에서 단순 개발을 넘어서고 싶은 많은 이들이 선택하는 진로가 바로 IT 컨설턴트입니다.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기업들은 전략적인 IT 전문가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 있는 역할이 IT 컨설턴트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기술력만으로는 IT 컨설턴트가 될 수 없습니다. 문제 해결 능력, 커뮤니케이션, 프로젝트 관리, 자격증, 실무 경험 등 복합적인 역량이 요구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IT 컨설턴트가 되기 위해 필요한 조건, 자격증, 실무 스킬, 그리고 커리어 개발 전략까지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1. IT 컨설턴트란 어떤 일을 하나요?

IT 컨설턴트는 기업의 정보시스템, 운영 프로세스, 보안 정책 등을 분석하고,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전략적 역할을 합니다. 단순히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비즈니스 목적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IT 전략을 제안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IT 컨설턴트의 주요 역할

  • 기업의 IT 환경 진단 및 최적화 방안 제안
  • ERP, CRM 등 기업 솔루션 도입과 운영 컨설팅
  • 보안 취약점 진단 및 정책 수립
  • 클라우드 전환, 인프라 설계, 데이터 분석 지원
  • IT 프로젝트 전반의 기획, 실행, 관리

직무별 IT 컨설턴트 유형 정리

컨설턴트 유형주요 업무추천 배경지식/역량
IT 전략 컨설턴트기업의 디지털 전략 수립, IT 투자 방향 제안비즈니스 모델 이해, 분석력, 프레젠테이션 능력
ERP 컨설턴트SAP, Oracle 기반의 ERP 도입/운영 지원회계/물류 지식, ERP 구조 이해
보안 컨설턴트보안 진단, 정책 수립, 인증 대응네트워크, 정보보호 지식, CISSP
클라우드 컨설턴트클라우드 전환 전략 수립, 아키텍처 설계AWS, Azure 등 자격증, 시스템 구조 이해
IT 인프라 컨설턴트서버, 네트워크, 데이터센터 설계/이전시스템 운영 경험, 기술 설계 능력
데이터 컨설턴트데이터 분석 기반 의사결정 지원SQL, BI 툴, 통계적 사고
PMO/프로젝트 컨설턴트IT 프로젝트 관리, 일정/인력/위험 조율프로젝트 관리 경험, PMP 등 자격증

이처럼 IT 컨설턴트는 하나의 포지션이 아니라, 다양한 전문 분야별로 세분화된 경로가 존재합니다. 위의 내용을 아키텍트 유형으로 구체화하면 AA, DA, TA 외에도 다양한 아키텍처 역할이 존재합니다. 이들은 각각의 도메인(업무, 데이터, 인프라, 보안 등)에 특화되어 있으며, 기업 IT 구조 전체를 입체적으로 설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아키텍트 유형별 역할 및 추천자격증

아키텍트 유형주요 역할진입 경로추천 자격증
EA (Enterprise Architect)전사 IT 전략 및 구조 총괄10년 이상 IT 전략·PM 경험TOGAF, ITIL Expert
BA (Business Architect)업무 프로세스, 조직 모델 설계기획자, 컨설턴트 → 업무분석 경험CBAP, BPM, Six Sigma
AA (Application Architect)앱 구조 및 연동 설계개발자(5~7년) → 시스템 설계 경험UML, ArchiMate
DA (Data Architect)데이터 구조 설계 및 흐름 정의DB 개발자, BI 엔지니어SQLD, CDMP, DAP
TA (Technical Architect)시스템 기술 구조 및 운영환경 설계인프라 운영, 네트워크 설계 경험RHCE, Kubernetes, TOGAF
SA (Solution Architect)프로젝트 중심 통합 설계SI·SM 경험자 → 솔루션 특화AWS SAP, Salesforce Cert.
IA (Infrastructure Architect)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설계시스템 엔지니어, IDC 관리자CCNA, Azure Infra, VMware
SecA (Security Architect)보안 체계 및 인증 설계보안관제, ISMS·모의해킹 경력자CISSP, CISA, CPPG
UXA (UX Architect)사용자 흐름·경험 구조 설계UX/UI 기획자, 퍼블리셔 → 시나리오 설계UXPA, HFI-CUA
PA (Process Architect)업무 표준화 및 프로세스 구조 설계경영 컨설턴트, BPM 툴 사용자BPMN, Lean Six Sigma
Cloud Architect클라우드 인프라 설계 및 이전AWS/Azure 엔지니어 → 클라우드 운영 경험AWS SA Pro, Azure Expert
DevOps ArchitectCI/CD 파이프라인 및 자동화 설계개발자 → 빌드·배포·자동화 경험Docker, Jenkins, Terraform, CKAD
AI/ML ArchitectAI 서비스 및 ML 시스템 구조 설계데이터사이언티스트, AI 개발자 → 플랫폼 설계 경험TensorFlow Cert, AWS ML, GCP ML
Data Platform Architect대규모 데이터 파이프라인 및 플랫폼 설계DW, 데이터엔지니어 → 빅데이터 경험Cloudera, Databricks, Google DP
  • EA (Enterprise Architecture)는 모든 아키텍처의 상위 개념으로, 아래 모든 구조를 통합/조정합니다.
  • SA (Solution Architect)는 특정 프로젝트(예: SAP 구축, 클라우드 이전)에서 AA, DA, TA 등을 총괄 조정하는 실전형 역할입니다.
  • SecA, UXA 등은 보안이나 사용자 중심 설계에 특화된 역할입니다.
  • 요즘은 전통적인 “AA, DA, TA” 역할 외에도 클라우드 아키텍트, DevOps 아키텍트, AI/ML 아키텍트처럼 신기술 기반의 전문 아키텍트 역할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2. IT 컨설턴트에게 필요한 핵심 스킬은?

① 기술 기반 스킬

  • 시스템 아키텍처, 네트워크, DB, 클라우드 이해
  • 기본적인 개발/스크립트 능력 (Python, SQL 등)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지원 역량 (BI 툴, Excel 고급 기능 등)

② 소프트 스킬 및 커뮤니케이션

  • 기술 설명을 비전문가에게도 전달할 수 있는 능력
  • 고객 및 이해관계자와의 효과적인 협업
  • 문제 해결 및 갈등 조율 능력
  • 제안서 및 회의록 작성, 문서화 능력

이처럼 IT 컨설턴트는 기술력과 소프트 스킬의 균형이 필수입니다.

3. IT 컨설턴트에게 유용한 자격증은?

자격증은 역량을 공식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특히 프로젝트 참여 시 신뢰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분야추천 자격증설명
보안/인프라정보처리기사, CISSP시스템과 보안에 대한 기반 역량
프로젝트 관리PMP, PRINCE2글로벌 프로젝트 수행 가능 역량
클라우드AWS, Azure, GCP 자격증클라우드 기반 컨설팅의 핵심
ERP/솔루션SAP, Oracle 인증기업 시스템 도입 및 운영 가능
데이터 분석SQLD, ADsP데이터 기반 컨설팅을 위한 기본 지식

자격증은 ‘스펙용’보다도 실무를 준비하는 과정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IT 컨설턴트로 커리어를 시작하는 방법

① 현업 경험 기반 전환

기존 IT 운영, 개발, 인프라 경험을 활용하여 자연스럽게 컨설팅으로 확장 가능

② SI/컨설팅 회사 입사

삼성SDS, LG CNS, Accenture 등 컨설팅 조직에서 주니어부터 프로젝트 경험 축적

③ 프리랜서 IT 컨설턴트

특정 영역의 전문성을 확보한 후 독립. 이때는 포트폴리오, 제안 역량, IT 컨설팅 소프트 스킬이 핵심

5. IT 컨설팅 소프트 스킬은 생존 전략입니다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복잡한 조직 내에서의 갈등 조율, 보고서 작성 능력 등 기술보다 실무에서 더 많이 요구되는 것이 바로 소프트 스킬입니다. 특히 프리랜서 혹은 외부 컨설턴트일수록 다음 역량이 중요합니다:

  • 신뢰감을 주는 말하기와 듣기
  • 복잡한 요구사항을 정리하고 재정의하는 능력
  • 기술을 이해관계자의 언어로 바꾸는 표현력
  • 팀 내외부와의 정보 공유 및 정리 능력

관련글: IT 컨설팅 소프트 스킬, 프로젝트 성공을 좌우하는 핵심 역량

6. IT 컨설턴트로 성장하기 위한 실전 전략

  • 다양한 산업의 프로젝트에 참여해 경험 확장
  • 기술과 비즈니스 양쪽의 언어를 익히기
  • 스터디 및 세미나 참여로 트렌드 감각 유지
  • 프리랜서라면 블로그, LinkedIn, 제안서 포트폴리오 정비

“IT커리어 & 프리랜서 전략”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