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탈률 개선이란 무엇인가?
블로그나 웹사이트를 운영하다 보면 가장 자주 듣는 말 중 하나가 바로 이탈률 개선입니다. 이탈률이란, 방문자가 웹사이트나 블로그에 들어온 후 한 페이지만 보고 곧바로 나가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즉, 나의 콘텐츠가 흥미롭지 않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제공하지 못했을 때 발생하는 지표입니다.
- 높은 이탈률 = 문제 신호
독자가 제목을 보고 클릭했지만, 글의 도입부가 기대에 못 미쳤거나, 글이 길지만 가독성이 떨어져 끝까지 읽지 못하고 떠나는 상황입니다. - 낮은 이탈률 = 긍정 신호
독자가 글을 끝까지 읽고, 다른 글까지 탐색하거나, 사이트 내에서 여러 행동(클릭, 이벤트 발생)을 하는 경우입니다.
GA4에서는 전통적인 “이탈률” 대신 참여도(Engagement) 개념을 중심으로 지표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스크롤 이벤트(특히 90% 스크롤)를 통해 독자가 글을 끝까지 읽었는지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이탈률 개선 과제를 세울 수 있습니다.
즉, 이 글에서 말하는 이탈률 개선은 단순히 방문자가 한 페이지만 보고 나가는 것을 줄이는 것뿐 아니라, 콘텐츠의 끝까지 읽도록 유도하고, 나아가 다른 콘텐츠로 이동하도록 만드는 전략까지 포함합니다.
2. GA4에서 이탈률 개선 지표 확인하기
(1) 보고서 메뉴 접근하기
-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 로그인
→ https://analytics.google.com 에 접속하여 본인의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 보고서 메뉴로 이동
- 왼쪽 메뉴에서 보고서(Reports) > 비즈니스 목표>
- 하위 메뉴에서 사용자 참여발생시간 및 유지율 보기클릭 선택
- 하위 메뉴에서 이벤트 선택
- 여기에서 페이지별, 이벤트별 사용자 행동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스크롤 이벤트 확인하기
GA4는 기본적으로 scroll 이벤트를 자동 수집합니다.
특히, 90% 스크롤 이벤트는 사용자가 글의 끝까지 도달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핵심 지표입니다.
- scroll 이벤트 필터링 방법
- 이벤트 보고서에서 이벤트 이름(Event name) 기준으로 정렬
scroll
이벤트를 선택- 여기서 90% 스크롤(near_bottom)=이벤트수 1회 데이터를 확인합니다.
(3) 특정 글별 스크롤 이벤트 확인하기
- 보고서(Reports) > 비즈니스 목표>사용자 참여발생시간 및 유지율 보기클릭 선택
- 하위 메뉴에서 페이지 및 화면 선택
- 항목 선택에서 페이지 제목 및 화면을 선택하면 좀 더 직관적으로 보기 좋음
- 출력 된 보고서에서 이벤트수 컬럼에서 이벤트 종류를 scroll 선택
- 내가 분석하고 싶은 특정 글(예:
/blog/이탈률-개선-방법
)을 선택 - 해당 글에서 발생한 90% 스크롤 도달 시=이벤트 수 1 을 확인합니다.
이벤트 수 1회는 “해당 글을 끝까지 읽은 사용자 비율”을 알려줍니다.
스크롤 도달 지점 50%, 75% 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GTM(Google Tag Manager)를 설정해야 하며, 기본 보고서는 90% 도달 기준으로 이벤트 수 1회가 표시됩니다.
3. 이탈률 개선을 위한 인사이트
이제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어떤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스크롤 이벤트가 적게 발생한 경우
- 독자가 글을 중간까지만 읽고 나갔다는 의미
- 원인 추정:
- 제목과 도입부가 기대와 맞지 않음
- 문단이 너무 길어 가독성이 떨어짐
- 이미지, 인포그래픽 등 시각적 요소 부족
(2) 특정 구간에서 이탈이 집중되는 경우
- 스크롤이 50%까지는 많이 발생했지만, 90%까지 가지 않았다면 중간 이후 내용의 흡인력이 부족하다는 의미
- 원인 추정:
- 불필요하게 장황한 설명
- 글의 구조가 산만하여 핵심 메시지 전달 실패
- CTA(Call To Action) 위치가 어색하거나 늦게 배치됨
(3) 이벤트 수 대비 참여 시간이 짧은 경우
- 글 끝까지 스크롤을 내렸지만, 실제 읽지 않고 빠르게 넘겼을 가능성
- 원인 추정:
- 콘텐츠가 재미없거나 읽기 어려움
- 단순히 스크롤을 빠르게 내린 행동일 수 있음
4. 이탈률 개선을 위한 실행 과제
GA4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토대로 실행할 수 있는 과제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제목과 도입부 개선
- 사용자가 클릭 후 첫 10초 이내에 글을 읽을지, 떠날지를 결정
- 해결책:
- 제목에서 약속한 내용을 도입부에서 바로 전달
- 문제 제기 → 해결책 암시 → 본문으로 연결하는 구조
(2) 문단 구성과 가독성 강화
- 스크롤 데이터를 보면 긴 문단에서 이탈이 많음
- 해결책:
- 2~3줄 단위로 끊어 쓰기
- 소제목, 불릿포인트 적극 활용
- 핵심 문장은 굵게(Bold) 표시
(3) 시각적 요소 삽입
- 글 중간에 이미지, 표, 인포그래픽, 동영상 삽입
- 독자가 시각적으로 쉬어갈 수 있는 구간 제공
(4) CTA(Call To Action) 배치 최적화
- 글 끝에서만 CTA를 넣으면 많은 사용자가 도달하지 못함
- 해결책:
- 글 중간마다 내 다른 글 링크, 무료 자료 다운로드 등을 배치
- 독자가 이탈하기 전에 다른 행동을 유도
(5) AB 테스트 진행
- 제목, 도입부, 이미지 사용 등을 바꾸어 스크롤 이벤트 변화 비교
- 가장 이탈률 개선 효과가 좋은 패턴을 계속 활용
5. 마무리: GA4와 함께하는 이탈률 개선 여정
이탈률 개선은 단순히 “방문자가 떠나는 것을 막아야지”라는 막연한 목표가 아니라, 데이터 기반의 콘텐츠 최적화 과정입니다.
- GA4에서는 기존의 이탈률 지표 대신 참여 세션, 이벤트, 스크롤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특히 90% 스크롤 이벤트는 독자가 콘텐츠를 끝까지 읽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 이를 통해 제목, 도입부, 본문 구성, CTA까지 점검하면서 콘텐츠를 점진적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는 GA4를 열어보고, 내가 쓴 글 중 90% 스크롤 이벤트가 낮은 글을 찾아보세요.
그 글이 바로 이탈률 개선 프로젝트의 첫 번째 타깃이 될 것입니다.